미국 안보에 위협이 될 국가를 특별 관리하는 제도인 '민감국가'. <br /> <br />다음 달 15일 실제로 발효되면 국내 주력 산업 다수가 영향권에 놓일 것으로 보이는데요. <br /> <br />관련 업계가 긴장 속에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체코 원전 프로젝트 수주를 눈앞에 둔 우리 원전업계의 불안이 큽니다. <br /> <br />국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총사업비 24조 원 규모 체코 두코바니 원전 건설 사업 수주전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상황인데요. <br /> <br />이달 말 또는 다음 달 초 최종 계약을 기대하고 있는데, 민감국가 지정이 행여나 계약에 악영향을 미치진 않을지 주시하는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또 사업 수주에 성공하더라도 앞으로 우리 원전 사업에서 한미 간 협력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조선업계도 걱정인데요. <br /> <br />우리 조선업계는 미국이 조선업 재건을 위한 필수 파트너로 한국을 꼽으면서 선박 건조뿐 아니라 군함의 유지보수정비, 이른바 MRO 분야에서도 협력을 추진 중입니다. <br /> <br />이밖에 AI 전력 수요 증가로 미국 인프라 시장 진출 확대를 기대했던 전력기기 업계, <br /> <br />또 글로벌 방위비 증액 흐름 속에서 우수한 품질로 순풍을 타던 방산업계도 민감국가 지정의 유탄을 맞을까 긴장하고 있죠. <br /> <br />이대로라면 우리의 주력 산업이 악영향을 피할 수 없을 거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채상미 / 이화여자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: 지금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제품이 반도체 그 다음에 원자력, 최근에 AI가 굉장히 중요한 부분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데 여기에 대한 기술 이전, 수출도 제한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여지고요. 그 다음에 반도체 관련해서 기술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니까 결과적으로 대미 협력 사업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어서 경제적으로 큰 마이너스 영향을 미치겠죠.] <br /> <br />반면, 동맹인 한미 관계와 우리 기업들의 기술력을 생각하면 민감국가 지정의 영향이 당장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더욱 선명한 미국 우선주의로 돌아온 트럼프 2기 정부를 상대로 만반의 준비가 필요하다는 위기의식은 점점 선명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조진혁 (chojh033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50318082743216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